
스팸문자나 스미싱문자도 시기에 따라 다양한 스타일로 발송되고 특히 최근에는 해외문자 혹은 인터넷번호로도 발송되고 있어서 가끔은 이게 스팸문자인지 정보성 문자인지 혼돈을 할때가 있습니다. IT 업종에 종사하는 젊은 나도 이러는데 연세가 있으시거나 정보가 없으신 분들은 정말로 스미싱을 당하고도 남을 것 같아서 최근에 저에게 수신된 스팸문자들을 정리해 봅니다.
카드사 도용 스팸문자
카드사를 도용해서 발송되는 스미싱 스팸문자는 본인 명의 카드발급 여부를 안내해 후킹하는 내용이 대중적입니다. 메시지 서두에 카드사명이 적혀있어서 오인하기 쉽지만 보통 발신된 전화번호가 국제발신이거나 애매한 국번의 번호가 많습니다.


번호 : +1 283 325 5178
내용 : [우리카드] 07/09 (8577)카드 개설되었습니다. 본인 요청이 아니시면 바로: 1899-6227
▶ 우선 통신사에서 함께 발송해준 "국제발신"이라는 표기가 있어 구분할 수 있고, 국가번호 +1 283 이면 미국령 버진아일랜드 쯤되려나 싶습니다.
번호 : +82 30 728 8374
내용 : [현대카드] 고객님께서 신청하신 (0649)현대카드 신청완료 고객님본인 외 즉시 전화바랍니다. 접수안내 :1811-7864
▶ 두번째 스팸문자 역시 수신 후 연달아서 통신사에서 발송해준 해외발송 안내문을 통해서 다행이도 속아넘어가지 안았으며, 발신번호 +82이라 속아넘어갈 수 있었으나 국번이 030 인터넷번호 국번이라 점 기억하십시오.

이어서 스팸 & 스미싱 문자로 속아 넘어가기 딱 좋은 문자는 카드사 대금 결제에 대한 문자입니다. 교묘하게 금액이 백원, 십원 단위로 떨어지게 표기하는게 특징입니다.
번호 : +31 10 393 25 20
내용 : 05/30 09:30 신한카드대금(해외) 875,320원 정상처리 완료 본인사용 아니면 1533-0977 취소요청 바랍니다.
▶ 이번 문자는 최근에 제가 해외에 다녀온적이 있어서 홀딱 속아 버릴뻔했습니다. 하지만 역시 신한카대 사 대금결제 문자와는 조금 다른 형식이고, 문자가 발송된 전화번호의 국번히 +31 이라는 점! +31의 경우 네델라드의 국가번호 입니다. 이 뭐 요즘 스팸은 세계각국에서 오나봅니다.
거래처로 오인할 스팸문자

번호 : +82 10 8498 2948
내용 : (광고)문자 확인요청 문자를 안읽으셔서 재발송드립니다. https://uic.at/휴대폰번호
▶ 링크를 클릭해 보지 않아서 모르겠지만 스미싱이라기 보다는 국내에서 발송한 불법광고 문자가 아닐까 의심해 봅니다. 이 또한 교묘한게 방송통신위원회에서 가이드를 주고 있는 광고문자표기 방식을 어설프게 맞추고 있지만 몇가지 문제가 있다. 문자 머릿말에 (광고) 표기만 볼때는 정상으로 보이지만 문자 말미에는 광고수신거부를 할 수 있는 전화번호 링크가 되어있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정상적인 문자는 아니라는거겠죠?
평범하게 느껴지는 일반적인 스팸문자



내용 : 지난회차로또 1127회 2등 52687428원 담청! 2024년 특별여름EVENT
내용 : 당신에게만 주는기획 2등되는번호 공유 공짜로 2등 받아가세요. 선착순20명
내용 : 안정적인 수익 암호화폐 24시간 거래 링크 클릭하시고 참여하세요.
최근에는 하도 후킹 스러운 문자들을 받았더니 이정도의 문자들에 대해서는 정상적인 방식이 아닌 불법 광고 문자 정도로까지 인식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해당 문자들도 기억하고 계셨다가 거르시길 당부드립니다. 해당 문자들은 사실 마케팅 수신동의를 정상적으로 하지 않고 무작위로 메시지를 발송한 불법 스팸 광고의 형태입니다.
라인 계정을 노리는 스팸 스미싱 문자
마지막으로 제가 받았던 내용은 최근 부쩍 늘어난 형태의 스팸 문자의 형태입니다. 특정일에 한국으로 방문할테니 라인 아이디를 추가해 달라는 문자내용으로 얼핏 보기에는 이사람이 한국 여행을 계획했는데 가이드에게 문자를 잘못 보냈나 싶은 내용입니다.




메시지의 발신자 형태는 무척 다양합니다. 007 국제번호 이거나 +7로 시작하는 러시아, 카자흐스탄의 국가지역 번호 혹은 아이폰 사용자의 경우 어떻게 전화번호가 등록되었는지 모르겠지만 iMassage로 확인되기도 합니다. 해당 스팸 문자들은 보통 라인의 계정정보를 친구로 등록하게되면 추가로 앱설치를 유도하여 정보를 탈취하는 형태일 수 있다고 하오니 조심하시길 바랍니다.